김우진, 임시현 양궁 혼성 단체 결승 결과 金메달!!
김우진 선수와 임시현 선수가 혼성 단체 결승에서 독일을 상대로 금메달을 획득한 소식은 정말 기쁜 일입니다.
대한민국 | 점수 | 세트포인트 | 독일 | 세트포인트 | ||
1세트 | 8 10 10 10 | 38 | 2 | 8 9 9 9 | 35 | 0 |
2세트 | 10 9 8 9 | 36 | 4 | 8 9 9 9 | 35 | 0 |
3세트 | 8 9 9 10 | 36 | 6 | 8 10 7 10 | 35 | 0 |
이들은 1세트 38-35, 2세트 36-35, 3세트 36-35로 세트 포인트 6점을 획득하며 멋진 경기력을 발휘했습니다.
이번 금메달을 포함하여 두 선수는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하여 2관왕에 오르게 되었습니다. 이들은 한국 양궁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. 앞으로의 경기에서도 좋은 성과를 기대합니다!
728x90
양궁이란?
양궁은 화살과 활을 사용하여 목표를 맞추는 스포츠로,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
1. 종류: 양궁에는 일반적으로 리커브 활, 컴파운드 활, 전통 활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. 각 활은 사용 목적과 기술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어 있습니다.
리커브 활 | 형태: 양 끝이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어, 활을 당길 때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사용: 올림픽 양궁에서 주로 사용되며, 전통적인 양궁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. 장점: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, 유지 보수와 조정이 용이합니다. 단점: 컴파운드 활에 비해 조준과 발사 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 |
컴파운드 활 | 형태: 여러 개의 풀리와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어, 활을 당길 때 힘이 분산되고, 발사 시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. 사용: 사냥과 스포츠 양궁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 장점: 높은 정확도와 강한 발사력을 제공하며, 조준할 때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 단점: 구조가 복잡해서 유지 보수가 필요하며, 더 비쌀 수 있습니다. |
전통 활 | 형태: 나무나 대나무로 만들어진 간단한 형태의 활로,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. 사용: 전통 양궁 대회나 문화 행사에서 사용됩니다. 장점: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우며, 문화적 가치가 높습니다. 단점: 현대적인 활에 비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 |
2. 경기 방식: 양궁 경기는 거리와 목표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며, 주로 70m, 50m, 30m 등의 거리에서 진행됩니다. 선수는 정해진 시간 내에 주어진 수의 화살을 쏘아 점수를 경쟁합니다.
- 타겟 양궁 (Target Archery):
- 거리: 일반적으로 70m, 50m, 30m 등 다양한 거리에서 진행됩니다. 올림픽에서는 70m 거리에서 경기합니다.
- 목표: 원형의 목표판이 있으며, 중앙에 위치한 10점 지역이 가장 높은 점수를 제공합니다.
- 경기 구성: 선수들은 정해진 수의 화살(보통 6발)을 쏘고,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합니다. 예를 들어, 72발을 쏘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필드 양궁 (Field Archery):
- 형태: 자연 환경에서 진행되며, 다양한 거리와 각도에서 목표를 맞추는 방식입니다.
- 경기 구성: 선수들은 여러 개의 목표를 향해 화살을 쏘며, 각 목표의 거리와 난이도에 따라 점수가 다르게 책정됩니다.
- 3D 양궁 (3D Archery):
- 형태: 입체적인 동물 모형을 목표로 설정하여 사격하는 방식입니다.
- 경기 구성: 선수들은 실제 사냥과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거리에 있는 3D 목표를 맞추게 됩니다.
- 팀 경기:
- 형태: 개인 경기 외에도 팀 대항전이 있습니다. 두 명 이상의 선수가 한 팀을 이루어 경쟁합니다.
- 경기 구성: 각 팀이 정해진 수의 화살을 쏘고, 팀의 총 점수로 승패가 결정됩니다.
- 랭킹 라운드:
- 형태: 선수들은 정해진 거리에서 화살을 쏘아 점수를 기록하고, 그 점수를 바탕으로 순위를 매깁니다.
- 사용: 올림픽과 같은 대회에서 본선 진출자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